Hope for the Pain of the Korean Youth

carrying a tree

“You know, the best thing that I have done for my daughter so far is that I did not introduce her to church.” This was the very first thing he said as we sat down for coffee. We had not met in a long time, but he did not hesitate to let this word set the tone of our conversation that day. I still vividly remember the conviction with which he spoke.   

A Pain Point in the Korean Church Today

I am about to name one particular pain that the Korean church has today, fully acknowledging that such an attempt can only be partial and deficient. So I offer it prayerfully: I ask the Lord to help me recognize what I see as clearly as possible, to see my actions (which contribute to our actions) as honestly as possible, to uphold my words as faithfully as possible, and to speak my thoughts as courageously as possible. The whole purpose of doing so is to discern what the Korean church leadership can do to help its congregation remain hopeful of the future while being mindful of the present pain. This painful point in the Korean church that I will address is the overly passive youth.

Thinking My Seeing and Seeing My Doing

When the leaders of the newly planted church that I became a member of asked me to preach for high school students, I readily said yes. Instead of preaching, however, I have been facilitating Lectio Divina.

From day one, I have let the students know that we will not have a pastor preach every Sunday.  I also let them know that there will not be a typical sermon with clean-cut, take-home lessons prepared in advance for us. Instead, I told them that we will read the Bible together and pay careful attention to see if there is any particular image, word, phrase, color, and/or emotion that stands out, in light of which we may ask and discern what God is doing in and among us. In other words, I have encouraged them not only to read the text but also to let themselves be read by the Scriptures.

Instead of passively hearing whatever someone else has read, studied, and contemplated for them, I have challenged them to interact with the text and ask the questions themselves. Rather than writing complete sermons, therefore, I spend much of my time and energy during the weekdays on choosing a text, searching for relevant resources, and thinking of questions that can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and continue to meditate on the text throughout the week.

Such a new and almost “unheard of” attempt was not received with enthusiasm, especially for the first three months: the most popular response was a monotonous and effortless “I don’t know.” Their faces constantly communicated to me, “Just preach to us and give us lessons to take home, so that we can tell our parents when they ask us what we learned today.”

One Sunday, however, there were four completely new faces. For all of them, church was an absolutely novel thing. When Lectio Divina began, we had a dramatically different experience: In the sharpest contrast that one can ever imagine, these four new faces had brightly shining eyes with so much excitement and curiosity. Unlike the rest of the students who sat so lifelessly, these four—who had no idea who Jesus was or what church was about—raised so many questions and responded to every single question that emerged with enthusiasm and passion. They seemed determined not to let any moment pass by meaninglessly.

What has the Korean church done to its youth? The youth within the Korean church have become so passive, unengaged, and reliant on the paid experts to feed them light meals made to fit their Sunday morning appetite. Rather than cultivating an environment where the youth can “participate in the action-reflection cycle”1 as they are challenged and supported to discern the will and work of God, the church has made the experts do all the work for the rest, including its youth. Consequently, the youth have grown so used to being fed by those who work on their behalf that they find it overwhelmingly bothersome to do the work themselves. The only thing they are willing to do is to come and sit at the table that is wide open for them and take whatever seems fitting to their taste.

Doing My Saying

I teach a course for Korean students that focuses mainly on conducting case studies. Each case is filled with ambiguities and problems for which there are no clear biblical teachings nor simple solutions. For the case study to be done, everyone in the class is challenged to speak up, identify main issues, listen to and question different perspectives that emerge, review all the available resources, understand possible alternatives, and work towards a solution that the group could support. Much of the classroom time is thus spent on communal discussions and reflection.

In general, Korean students naturally expect an expert to talk and fill every minute available in class with a good amount of knowledge-based inputs. This is because they come from a high-power distance culture where teachers are expected to take all initiative and “outline the intellectual paths to be followed.”2 It is therefore against the Korean students’ expectations that I facilitate case studies where they themselves have to do the hard work of questioning and processing the issues. Nonetheless, I have insisted on challenging them to build a hermeneutical community through the case study method. Why?

First, it is to alleviate the students’ exaggerated dependency on one particular authority figure who is expected to offer quick solutions. Second, it is to include everyone in the entire process of cocreating the unique space and time for new learning. Finally, it is to help everyone ask hard questions that they would normally avoid or miss out on. In short, through the case study method, I am giving the work back to the students, for I have said both in and outside the class that “giving the work back to the people”3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of leadership, especially in the Korean church today.

Giving the work back to the students, in both school and church, does not necessarily lessen my work load. On the contrary, it sometimes takes more energy to let the work be shared among students for it is much easier to control than to let go of control. Similiarly, speaking less does not necessarily mean doing less.  As a matter of fact, it is often easier to speak as much as I want rather than to listen to “the songs beneath their words.”4 Encouraging others to partake by allowing them to speak, contribute, and question requires much more energy and competency. Nonetheless, some of the students have mistaken my intentional efforts of giving the work back to them for my incompetency.

Despite such an unpleasant potentiality of being misunderstood, I have tried to give the work back to the students, for I consider it to be a faithful doing my saying.

Saying My Thinking

Concerning its youth, the Korean church leadership needs to give the work back to them. The church leadership has tried to be responsible for everything for everyone. Yet it is time for the youth, who have grown so passive, to realize that it is their own responsibility to read, interpret, and apply the Bible to their lives, and to draw attention to the tough questions themselves. The youth should take more responsibility than they are comfortable with. This should be done, however, only at a pace that they can handle.

In retrospect, I can see that it was a critical mistake to announce on my very first day with my church’s youth that we were going to have a change—that there would be no preaching pastor. In so doing, despite my good intentions of putting the work back on the students in order for them to grow and mature, I failed to create “a holding environment”5 where they could feel safe enough to try something new.

Most students did not resist the change to Lectio Divina but rather feared not being able to develop a new relationship with a pastor or a pastor-like figure who could take care of them.

New Learning for a Complex Challenge

For the Korean church to be hopeful for the future while remaining mindful of the present pain, its leadership must bring conflicts to the surface. Instead of avoiding the work, which is a very common response to difficult challenges, the Korean church should name and face them.

Most difficult challenges are built on “dynamic complexities,” whose cause and effect are distanced in both time and space, and “social complexities,” products of different views and values. At the core of such challenges could also be “emerging complexities,” whose problems, solutions, or even stakeholders are not clearly known.6 The pain of the Korean church, namely the overly passive youth, is impacted by these three complexities. Hence, they are far from being technical challenges that can be resolved simply by applying well-known technical solutions without learning.7

The current pain of the Korean church requires new learning—the past alone is not enough.  Therefore, the Korean church leadership has to overcome the temptation of simply reenacting past patterns of thoughts and reproducing familiar rules and values. Divergent views and even disconfirming mental models and data should be welcomed within broadened conversation. Rather than silencing others’ thoughts, guiding others’ assumptions, and blaming others for the current pain, the Korean church leadership has to acknowledge and learn from its own contribution to that pain. More than anything else, it has to learn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leadership process should now be viewed “in terms of the level of feelings of significance experienced by people in the community” rather than the level of influence that an individual leader generates.8 It is time for the Korean church leadership to give the work back to the body of Christ at a pace that is appropriate so that everyone can feel both challenged and supported to do their own work (Eph 4:16). After all, the members involved in professional ministry, which make up 1 percent of the church, exist to both equip and support the remaining 99 percent—not the other way around.9

I have structured this writing in such a way that I could think my seeing, see my doing, do my saying, and say my thinking. I have done this not only for the purpose of discerning the present pain of the Korean church, but in doing so, to also provide hope. God who began a good work in us will carry it to completion until the day of Christ Jesus (Phil 1:6).

Endnotes

M. L. Branson and J. F. Martínez, Churches, Cultures & Leadership: A Practical Theology of Congregations and Ethnicities (Downers Grove, IL: IVP Academic, 2011).
G. Hofstede and G. J. Hofstede,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New York: McGraw Hill, 2005).
R. A. Heifetz and M. Linsky, Leadership on the Line: Staying Alive through the Dangers of Leading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2).
R. A. Heifetz, A. Grashow, and M. Linsky, The Practice of Adaptive Leadership: Tools and Tactics for Changing Your Organization and the World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9).
R. A. Heifetz, Leadership Without Easy Answers (Cambridge, MA: Belknap Press, 1994).
O. Scharmer, Theory U: Leading from the Future as It Emerges (Oakland: Berrett-Koehler Publishers, 2009).
Heifetz, Grashow, and Linsky, The Practice of Adaptive Leadership.
W. H. Drath and C. J. Palus, Making Common Sense: Leadership as Meaning-making in a Community of Practice (Greensboro, NC: Center for Creative Leadership, 1994).
M. Oh, “An Apology to the Christian 99%, from 1%,” Christianity Today (June 2019), https://www.christianitytoday.com/ct/2019/june-web-only/apology-christian-99-1-percent-lausanne-gwf-michael-oh.html.

carrying a tree

그거 알아요? 지금까지 내 딸을 위해 한 일들 중 가장 잘 한 것은 바로 그 아이에게 교회를 소개해 주지 않았다는 거에요.” 커피를 마시려고 자리 하며 그가 건넨 가장 첫 번째 말이 이것이었다. 참으로 오랜만에 다시 만나는 자리였지만 그는 이 첫 마디로 그날 우리의 대화의 분위기를 정하는 것을 서슴지 않았다. 나는 아직도 그가 얼마나 확신에 차서 이 말을 했는지 생생하게 기억한다.

오늘날 한국 교회의 통점
나는 이제 오늘날 한국 교회가 지닌 특정한 아픔에 대해서 명명하려고 하는데, 이러한 시도는 단지 편파적이고 볼완전할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충분히 인정한다. 그래서 기도한다. 주님, 내가 보는 것을 최대한 분명하게 인식하고, (‘우리’의 행위들에 기여하는) 나의 행위들을 최대한 정직하게 보며, 나의 말들을 최대한 성실하게 지키고, 나의 생각들을 최대한 용기있게 말할 수 있도록 도와 주시옵소서. 오늘날 한국 교회의 아픔을 명명하는 목적은 교인들이 현재의 아픔을 염두에 두면서도 미래에 대한 소망을 잃지 않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한국 교회 리더십이 무엇을 해야 하는 지를 분별하기 위함이다. 내가 논하고자 하는 한국 교회의 통점은 다름 아닌 과도하게 수동적인 청소년이다.

보는 것을 생각하고 행하는 것을 보기
등록 교인이 된 개척 교회 담임 목사님이 내게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설교를 부탁했을 때 나는 기꺼이 응했다. 그러나 나는 설교 대신 렉티오 디비나 (Lectio Divina)를 인도해 오고 있다.

첫 날부터 나는 우리에게는 설교하러 오시는 목사님은 없을 것이라고 학생들에게 알려 주었다. 미리 준비 된 명확하고 적용 가능한 교훈들이 담긴 전형적인 설교도 없을 것이라고 알려 주었다. 그 대신, 우리는 함께 성경을 읽을 것이며 우리 안에 그리고 우리 가운데 하나님께서 행하시는 일에 대해 묻고 분별할 수 있는 어떤 심상, 단어, 구절, 색깔, 그리고/또는 감정이 떠오르는 지 보기 위해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시 말해서, 나는 학생들 자신이 말씀을 읽을 뿐만 아니라 말씀이 그들을 읽어 내도록 격려해 왔다.

다른 사람이 그들을 대신 해서 읽고, 공부하고, 묵상한 바를 수동적으로 듣기만 하는 대신에 나는 그들 스스로가 말씀과 교류하고 스스로 질문을 하도록 도전해 온 것이다. 따라서, 완전한 설교를 준비하는 대신 나는 본문을 선택하고, 본문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관련 자료들을 찾고, 일주일을 보내는 동안 계속해서 학생들이 그 말씀을 묵상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질문들을 생각해 내는 것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

이렇게 새롭고 거의 “들어보지 못한” 시도는 특별히 처음 3개월 동안은 그다지 달가운 반응을 얻어내지 못하였다: 학생들이 던진 가장 일반적인 반응은 단조롭고 성의 없는 “모르겠는데요” 였다. 청소년들의 얼굴은 끊임없이 내게 이렇게 말했다 – “그냥 설교나 해 주시고, 부모님들이 오늘 무엇을 배웠냐 물을 때 답할 수 있게 집에 가지고 갈 교훈이나 하나 주세요.”

그러던 어느 주일, 완전히 새로운 네 명의 얼굴이 나타났다. 그들 모두에게 교회는 절대적으로 새로운 것이었다. 렉티오 디비나가 시작 되었을 때, 우리는 극적으로 색다른 경험을 하게 되었다. 가장 첨예한 대조는 바로 그 네 명의 새로운 아이들의 눈이 흥분과 호기심으로 빛나고 있었다는 것이다. 전혀 생기 없는 얼굴을 하고 앉아있던 나머지 학생들과는 달리, 예수가 누구인지 또는 교회가 어떤 곳인지 전혀 모르는 이 네 명의 청소년들은 너무나 많은 질문들을 던졌고, 하나 하나의 질문에 열의와 열정을 가지고 답하였다. 그들은 한 순간도 의미없게 지나치지 않으려고 작정한 것 같았다.

한국 교회는 청소년들에게 무슨 일을 한 것인가? 한국 교회 안의 청소년들은 너무나 수동적이고, 무관심하며, 월급 받는 전문가들이 주일 아침 그들의 입맛에 맞게 차려주는 가벼운 먹거리를 받아 먹는 의존적 존재가 되어 버렸다. 청소년들 스스로가 하나님의 뜻과 역사하심을 분별하도록 도전 받고 지지 받는 “행동-성찰의 순환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배양해 주기보다 교회는 전문가들이 청소년을 비롯한 나머지 모든 사람들을 위해서 대신 모든 일을 하도록 만들어 왔다. 결과적으로 청소년들은 그들을 대신하여 일해주는 사람들이 먹여주는 것에 너무나도 익숙해져서 그들 스스로 일 하는 것은 압도적으로 성가신 것이라고 느끼게 된 것이다. 그들이 기꺼이 하는 유일한 일은 와서 그들을 위해 활짝 열려있는 테이블에 앉아 입맛에 맞는 무엇인가를 먹는 것 뿐이다.

말한 바를 행하기
사례연구에 주요 초점을 두는 과목을 하나 가르치고 있다. 각각의 사례는 모호함, 그리고 분명한 성경적 가르침이나 단순한 해답이 없는 문제들로 가득차 있다. 사례 연구를 마무리 하기 위해서는 강의실에 있는 모든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주요 관건들을 인식하고, 출현하는 다양한 관점들에 대해서 듣고 질문 하며, 모든 이용 가능한 자원들을 탐색하고, 가능한 대안들을 이해하며, 그룹 전체가 지지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도록 도전을 받는다. 따라서, 강의실에서의 대부분의 시간은 공동 토의와 반영을 위해서 소요된다.

일반적으로, 한국 학생들은 한 명의 전문가가 가르치며 지식에 근거한 상당한 인풋으로 강의 시간의 대부분을 채워주기를 기대한다. 이는 그들의 대부분이 교사들이 모든 주도권을 가지고 “지적인 행로를 마련하여 따라오게 하는” 권력 거리가 큰 문화권에서 왔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들 스스로 관건들에 대해 질문하고 처리해야만 하는 힘든 일이 요구되는 사례 연구를 인도하는 것은 한국 학생들의 기대에 거슬리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사례 연구 방법을 통해 해석 공동체를 세워나가도록 도전하는 것을 주장해 왔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첫째로, 이는 신속한 해결책을 제공해 줄 것이라 기대 되는 한 명의 특정한 권위자에 대한 학생들의 지나친 의존감을 경감시키기 위함이다. 둘째로, 새로운 학습을 위한 독특한 장소와 시간을 함께 창조해 내는 전체 과정 안에 모든 사람을 포함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이는 모든 사람들이 평소에는 회피하거나 놓치고 마는 어려운 질문들을 던질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함이다. 짧게 요약하자면, 사례 연구 방법을 통해서 나는 임무를 학생들에게 되돌려 주는 것이다. 나는 강의실 안팎에서 “사람들에게 일을 되돌려 주는 것” 이 특별히 오늘날 한국 교회가 감당해야 할 가장 중요한 리더십의 과제라고 주장해 왔다.

학교와 교회에서 학생들에게 일을 되돌려주는 것은 나의 수고를 필연적으로 줄여주지는 않는다. 오히려 그와는 반대로, 때로는 학생들 간에 임무를 나누어 하도록 하는 것이 훨씬 더 많은 에너지를 요구한다. 이는 제재하는 것이 자유롭게 풀어주는 것보다 때로는 훨씬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와 비슷하게, 말을 적게 한다고해서 일을 적게 하는 것도 아니다. 실은, 내가 원하는 만큼 말을 많이 하는 것이 “그들의 말 아래 담긴 노래”를 듣는 것 보다 쉽다. 다른 사람을 격려하여서 말하게 하고 기여하게 하고 질문하여서 참여하게 하는 것은 훨씬 더 많은 힘과 자질을 요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의 학생들은 그들에게 임무를 돌려주는 나의 의도적인 노력을 자질 부족으로 오해 할 때가 있다.

이렇게 불쾌한 잠재적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나는 학생들에게 임무를 돌려주려고 노력해왔다. 그것이 내가 말하는 바를 성실하게 행하는 것이라 여기기 때문이다.

생각하는 바를 말하기
한국 교회 리더십은 청소년들에게 그들의 일을 되돌려 주어야 한다. 교회 리더십은 모든 사람을 위해 모든 것을 책임지려 해왔다. 그러나, 이제는 너무나 수동적이 되어버린 청소년들 스스로가 성경을 읽고, 해석하고, 삶에 적용하고, 어려운 질문에 눈을 돌릴 책임을 져야 할 시간이 왔다. 청소년들은 그들이 편안하게 느끼는 것보다 더 많은 책임을 맡아야 한다. 그러나, 이것은 반드시 그들이 감당할 수 있는 속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돌아보면, 내가 우리 교회의 청소년들과 만난 첫날에 우리에게 변화—설교하는 목회자가 없을 것이라는—가 있을 것이라고 광고했던 것은 중대한 실수였다. 그들의 성장과 성숙을 돕기 위해 그들에게 그들의 일을 되 돌려주려는 나의 선한 의도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들 스스로가 새로운 것을 시도해 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안전하게 느낄 수 있는 “지탱해 주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에 실패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렉티오 디비나로의 변화에 대해서는 저항하지 않았지만, 그들을 돌보아 줄 수 있는 목회자 또는 목회자와 같은 누군가와의 새로운 관계를 발전시키지 못할 것에 대해서 두려워 했던 것이다.

복잡한 도전을 위한 새로운 학습
한국 교회가 현재의 아픔은 염두에 두되 미래를 소망하기 위해서 교회의 리더십은 갈등을 표면적으로 드러내야 한다. 어려운 도전을 맞이했을 때 매우 흔히 있을 수 있는 반응인 일을 회피함 대신 한국 교회는 그것을 명명하고 직면해야 한다.

가장 어려운 도전은 그 원인과 결과가 시간적 그리고 공간적 거리를 두고 있는 “역동적 복잡성들”과 상이한 견해들과 가치들의 산물인 “사회적 복잡성들”의 기초 위에 세워진다. 이러한 도전들의 핵심에는 또한 문제, 해결 방법, 또는 이해관계자들 조차 분명하지 않는
“출현하는 복잡성들”이 있을 수 있다. 한국 교회의 아픔, 이름하여 과도하게 수동적인 청소년의 문제는 이 모든 세 가지 복잡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이것은 학습 없이 이미 잘 알려진 기술적인 해결책만을 단순히 적용함으로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인 도전들과는 거리가 멀다.

한국 교회의 현재의 아픔은 새로운 학습을 요구한다—과거 하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러므로, 한국 교회 리더십은 단순히 과거의 패턴을 재현하고 익숙한 규칙과 가치관을 재생산하려는 유혹을 이겨내야 한다. 분분한 관점과 심지어 부당성을 증명하는 정신적 모델과 데이터조차도 확대된 대화, 토론의 파트너들과 레퍼토리 안에서 환영받아야 한다. 다른 사람들의 생각들과 그들을 지도하는 가정들을 잠잠하게 하고 현재의 아픔에 대해 다른 사람들을 원망하기 보다는 한국 교회 리더십은 그 아픔에 스스로 기여한 바에 대하여 인정하고 그것으로부터 배워야 한다. 다른 그 무엇보다 한국 교회는 리더십 과정의 효력은 이제 어떤 한 개인의 리더가 만들어내는 영향력의 정도보다는 “공동체 안의 사람들이 중요하게 느끼는 감정의 정도”로 측정 되어야 함을 것을 배워야 한다. 한국 교회 리더십은 적절한 속도감을 유지하면서 그리스도의 몸에게 일을 되돌려 줌으로 모든 사람이 각자의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전과 후원을 동시에 제공해야 할 (엡 4:16) 때이다. 결국, 교회의 1퍼센트에 지나지 않는 전문적 사역에 참여하는 멤버들은 나머지 99퍼센트를 구비하고 지지하기 위해서—그 반대가 아니라—존재함을 기억해야 한다.

나는 내가 보는 바를 생각하고, 내가 행하는 것을 보고, 내가 말하는 바를 행하며, 내가 생각하는 바를 말할 수 있도록 이 글을 구성했다. 나는 단지 한국 교회의 현재의 아픔을 분별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그렇게 함으로써 소망도 제공하고자 이 글을 썼다. 우리 속에 착한 일을 시작하신 이가 그리스도 예수의 날까지 이루실 줄을 확신하는 바이다 (빌 1:6).